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은 '직장인들의 13월 월급'이라고 불릴 만큼 많은 직장인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신데, 연말정산을 실시한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1분도 안되는 시간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아직 환급을 받지 못하신 분이라면, 아래 포스팅 내용 확인하셔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해 보시길 바랍니다. 환급금 조회방법 우선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hometax.go.kr)에 접속합니다.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누르고 '간편인증' 또는 '공동/금융인증서로' 로그인을 합니다. 또는 연말정산을 했을 때 로그인했던 방법으로 동일하게 로그인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로그인을 하셨으면 좌측 사진처럼 'My 홈택스'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최근 접속일시와 접속 IP 등이 나타나는 화면에 접속됩..

직장을 잃는다는 것은 단순히 당장 출근을 못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불안감에 늘 노출되며, 정서적으로 고립되고 피폐해집니다. 저는 뉴스에서 나오는 실업자 영상에서 생기 있는 미소를 보여주는 사람은 단 한 명도 본 적이 없습니다. 이렇게 타의로 직장을 잃어버린 분들에게 일시적인 지원을 제공해서 경제적인 어려움을 상쇄해 주는 정책이 있습니다. 바로 여러분들이 많이 들어본 '실업급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는 조건, 신청방법, 지급액 등 실업급여 신청부터 수령까지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위 사진은 '고용보험법'에서 정의하는 '실업'의 의미입니다. 즉, 법에서는 단순히 직장을 잃은 것이 실업이 아니고, '일을 하고싶은데 ..

다가오는 5월 1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월 10만원씩 3년간 저축하면 최대 1,440 만원이라는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정책입니다. 그런데 좋은 정책인 만큼 가입 조건이 조금 까다롭습니다. 자격조건과 신청방법 꼼꼼히 확인하시고 좋은 혜택 얻으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하려면 연령기준, 개인 소득기준, 가구 소득기준, 가구 재산기준 4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구분 차상위 이하 차상위 초과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연령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근로기준 월 10만원 이상 근로・사업소득 발생 월 50만원 초과 ~ 월 220만원 이..

직장인 분들이 월급 받으실 때마다 꼬박꼬박 빠져나가는 국민연금. 아깝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한두 분이 아니시겠지만, 반대로 국민연금에 얼마나 납부했는지를 아시는 분들도 거의 없으실 것입니다. 지금까지 얼마만큼의 금액을 납부했는지 확인하는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과 국민연금을 납부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납부액은 PC와 모바일로 확인 가능합니다. PC는 웹페이지만 접속하면 되지만, 모바일은 어플을 깔아야 하기 때문에 자신이 편한 것으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PC로 확인하는 방법(국민연금공단) 인터넷 검색엔진에서 '국민연금공단'으로 검색하거나, 주소창에 www.nps.or.kr를 입력해서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접속하면 좌측 사진처럼 4가지의 메뉴가 있는데,..